본문 바로가기

승강기 안전기준(19.3.28이후)/14항10

전기배선_14.6 14.6.1 전도체 및 케이블 전도체 및 케이블은 한국산업표준(KS)에 의해 표준화된 것을 사용하거나 동등 이상의 것이 선택되어야 한다. 전도체 및 케이블은 KS C IEC 60204-1의 12.1, 12.2, 12.3 및 12.4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 전도체 및 케이블은 주어진 작동조건과 외부 영향에 적합하게 선정되어야 하며, 주요내용으로 도체, 절연, 허용전류를 고려하여야 한다. ▸ 도체, 절연, 허용전류의 세부사항은 KS C IEC 60204-1의 12.1, 12.2, 12.3 및 12.4에 따른다. 14.6.2 전도체의 단면적 전도체의 단면적은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KS C IEC 60204-1의 표 5에 기술된 값 이상이어야 한다. ▸ 구리도체의 최소단면적은 케이블 사용.. 2023. 3. 2.
주 개폐기_14.5 14.5 주 개폐기 14.5.1 각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에 공급되는 모든 전도체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주 개폐기가 있어야 한다. 이 주 개폐기는 KS C IEC 60204-1의 5.3.2가)~라) 및 5.3.3에 적합해야 한다. 14.5.1.1 이 개폐기는 다음 장치에 공급되는 회로를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가) 카 조명과 환기장치 나) 카 지붕의 콘센트 다) 기계류 공간 및 풀리실의 조명 라) 기계류 공간, 풀리실 및 피트의 콘센트 마) 승강로 조명 14.5.1.2 이 개폐기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위치해야 한다. 가) 기계실이 있는 경우, 기계실 나) 기계실이 없는 경우, 제어반(승강로에 위치할 경우는 제외) 다) 제어반이 승강로에 위치할 경우,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6.6.6). .. 2023. 3. 2.
전기설비의 보호_14.4 14.4 전기설비의 보호 14.4.1 전기설비 보호에 대하여 KS C IEC 60204-1의 7.1 ~ 7.4를 적용한다. 14.4.2 각 전동기에 대하여 과열에 대비하는 전동기의 보호가 있어야 한다. 14.4.3 권상 및 포지티브 구동방식에서 온도감지장치가 설치된 전기설비의 설계온도가 초과한 경우, 승객이 카에서 내릴 수 있도록 승강장에 정지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으로의 자동 복귀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진 후에만 가능해야 한다. 14.4.4 유압 구동방식에서 온도감지장치가 설치된 유압 전동기나 작동유의 온도가 설계온도를 초과한 경우, 승객이 카에서 내릴 수 있도록 승강장에 정지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으로의 자동 복귀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진 후에만 가능해야 한다. ▸ 전기설비 보호.. 2023. 3. 2.
접촉기, 릴레이-접촉기 및 안전회로 부품_14.3 14.3 접촉기, 릴레이-접촉기 및 안전회로 부품 14.3.1 접촉기 및 계전기-접촉기 14.3.1.1 주 접촉기, 즉 13.2.5 및 13.3.4에 따라 구동기를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접촉기는 KS C IEC 60947-4-1에 적합하고 적절한 이용 범주에 따라 채택되어야 한다. 단락 회로 보호 장치에 연관된 주 접촉기는 KS C IEC 60947-4-1, 8.2.5.1에 일치하는 형식“1”로 조정되어야 한다. 직접적으로 구동기를 조절하는 주 접촉기는 추가로 기동 운전의 10 %를 조금씩 움직이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즉, 90 % AC-3 + 10 % AC-4이러한 접촉기는 13.2.5.2, 13.2.5.3.1, 13.2.5.3.2나)1), 13.2.5.4가), 13.2.5.4나)1), 13.3.4.2가.. 2023.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