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승강기 안전기준(19.3.28이후)/14항10

전기적 식별_14.10 14.10 전기적 식별 모든 제어 장치와 전기부품은 전기 도면과 동일한 명칭(또는 참조 표시)으로 명확하게 식별되어야 한다. 정격 용량, 형식과 같은 필요한 퓨즈의 사양은 퓨즈 또는 퓨즈 홀더나 근처에 표시되어야 한다. 다수의 배선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배선이 아닌 연결장치에만 표시되어야 한다. 승강기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출처"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승강기인재개발원 교육자료 '교육-19-07' (19.3.28 개정법) 2023. 3. 7.
보호접지_14.9 14.9 보호접지 KS C IEC 60364-4-41의 411.3.1.1의 요구사항이 적용된다. ▸ 노출도전부는 TN계통, TT계통, IT계통에 보호도체 접속되어야 한다. 승강기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출처"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승강기인재개발원 교육자료 '교육-19-07' (19.3.28 개정법) 2023. 3. 7.
조명 및 콘센트의 전원공급 제어_14.8 14.8 조명 및 콘센트의 전원공급 제어 14.8.1 차단기는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및 콘센트의 회로에 전원공급을 제어해야 한다. 기계실에 여러 대의 구동기가 있으면 카마다 차단기가 필요하다.이 차단기는 주 개폐기의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한다. 14.8.2 승강로를 제외한 기계류 공간의 조명전원 공급을 조작하는 스위치 또는 유사한 장치는 출입구 가까이에 위치해야 한다. 6.1.4.2를 참조한다.승강로 조명 스위치(또는 이와 동등한 장치)는 피트 및 주 개폐기 근처에 설치되어 각 설치된 위치에서 승강로 조명이 작동되어야 한다.추가적인 램프가 카 지붕에 설치된 경우, 추가적인 램프는 카 조명 회로에 연결되어야 하고 카 지붕에서 켜고 끌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점검자 및 유지관리업자가 쉽게 접근할 .. 2023. 3. 7.
조명 및 콘센트_14.7 14.7 조명 및 콘센트 14.7.1 카, 승강로, 기계류 공간, 풀리실 및 비상운전 및 작동시험을 위한 패널(6.6.6)에 공급되는 전기조명은 구동기에 공급되는 전원과는 독립적이어야 한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다른 회로를 통해 또는, 나) 구동기의 주 개폐기 또는 14.5에 따른 주 개폐기의 전원공급측에 연결을 통해 14.7.2 카 지붕, 기계류 공간, 풀리실 및 피트에 요구되는 콘센트의 전원은 14.7.1에 기술된 회로에서 공급되어야 한다.이 콘센트는 2P + PE, 250 V로 직접 공급되어야 한다.상기 콘센트를 사용한다고 해서 전원공급 케이블이 콘센트의 정격전류에 상응하는 단면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전도체의 단면적은 전도체가 과전류에 대해 정확하게 보호될 경우 더 작을 수..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