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장애인용, 소방구조용 및 피난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추가요건
17.1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추가요건
17.1.1 일반사항
17.1.1.1 엘리베이터 구조는 3부터 16까지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17.1.1.2 이 기준에서 다루지 아니하는 사항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등 개별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설기준에 따라 제작되어야 한다.
17.1.2. 승강장의 크기 및 틈새
17.1.2.1 승강기의 전면에는 1.4 m × 1.4 m 이상의 활동공간이 확보
되어야 한다.
▸ 승강장은 이용자의 활동공간으로 출입구 공간은 1.4 m × 1.4 m 면적에 포함하지 않는다.
17.1.2.2 승강장바닥과 승강기바닥의 틈은 0.03 m 이하이어야 한다.
17.1.3. 카 및 출입문 크기
17.1.3.1 승강기 내부의 유효바닥면적은 폭 1.6 m 이상, 깊이 1.35 m 이상이어야 한다.
17.1.3.2 출입문의 통과 유효폭은 0.8 m 이상으로 하되, 신축한 건물의 경우에는 출입문의 통과 유효폭을 0.9 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17.1.4. 이용자 조작설비
17.1.4.1 호출버튼·조작반·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팎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 m 이상 1.2 m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다만, 스위치는 수가 많아 1.2 m 이내에 설치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1.4 m 이하까지 완화될 수 있다.
17.1.4.2 카 내부의 휠체어사용자용 조작반은 진입방향 우측면에 설치되어야 한다. 다만, 카 내부의 유효바닥면적이 1.4 m × 1.4 m 이상인 경우에는 진입방향 좌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비고_ 17.1.3.1에 따른 유효바닥면적 이상인 경우에도 진입방향 좌측면에 설치 가능
17.1.4.3 조작설비의 형태는 버튼식으로 하되, 시각장애인 등이 감지할 수 있도록 층수 등이 점자로 표시되어야 한다.
17.1.4.4 조작반·통화장치 등에는 점자표지판이 부착되어야 한다.
17.1.5 기타 설비
17.1.5.1 카 내부에는 수평손잡이를 카 바닥에서 0.8 m 이상 0.9 m 이하의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수평손잡이는 측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야 한다.
▸ 내부 손잡이와 조작반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17.1.5.2 카 내부의 유효바닥면적이 1.4 m × 1.4 m 미만인 경우에는 카 내부 후면에 견고한 재질의 거울이 설치되어야 한다.
17.1.5.3 각 층의 승강장에는 카의 도착여부를 표시하는 점멸등 및 음향신호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카 내부에는 도착 층 및 운행상황을 표시하는 점멸등 및 음성신호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17.1.5.4 호출버튼 또는 등록버튼에 의하여 카가 정지하면 10초 이상 문이 열린 채로 대기해야 한다.
17.1.5.5 각 층의 호출버튼 0.3 m 전면에는 점형블록이 설치되거나 시각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도록 바닥재의 질감 등을 달리해야 한다.
17.1.5.6 카 내부의 층 선택버튼을 누르면 점멸등 표시와 동시에 음성으로 층이 안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등록과 취소 시에도 음성으로 안내되어야 한다.
17.1.5.7 카 내부 바닥의 어느 부분에서든 150 ㏓ 이상의 조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승강기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출처"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승강기인재개발원
교육자료 '교육-19-07' (19.3.28 개정법)
'승강기 안전기준(19.3.28이후) > 17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강장문 및 카문_17.2.6. (0) | 2023.04.05 |
---|---|
엘리베이터 카에 갇힌 소방관의 구출_17.2.5. (0) | 2023.04.05 |
전기장치의 물에 대한 보호_17.2.4. (0) | 2023.04.05 |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_17.2.3. (0) | 2023.03.20 |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추가요건_17.2.1(일반사항)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