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육나레입니다.
오늘도 엘리베이터 용어 하나를 정리해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바로 ‘과속조절기’입니다.
엘리베이터 업계에서 아주 자주 언급되는 이 장치는
다른 말로는 ‘조속기’ 또는 ‘가바나’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현장에서 실무자들끼리 대화할 때
“가바나 이상 생긴 것 같아” 같은 식으로 말하는 걸 들어보신 적 있을지도 몰라요.
그렇다면 이 과속조절기, 정확히 어떤 장치일까요?
과속조절기의 정의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엘리베이터가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할 때
이를 감지하여 정지시키고, 필요한 경우 추락 방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
출처 입력
즉,
엘리베이터가 너무 빠르게 움직일 경우,
그 속도를 감지해서 제어 신호를 보내 멈추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사고를 막기 위한 아주 중요한 장치죠.
왜 중요한가요?
엘리베이터는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수많은 사람을 나르고 있어요.
그런데 만약 어떤 이유로든 속도를 통제하지 못하고 추락한다면?
상상만 해도 아찔하죠.
엘리베이터는 설계할 때부터 정격속도가 정해져 있어요.
예를 들어 1.0m/s, 1.5m/s, 1.75m/s 등등.
그 기준 속도를 넘어가는 상황은 비정상, 즉 위험 상황입니다.
과속조절기는 이 속도를 감지하고
먼저 제어반(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전기적으로 정지를 유도합니다.
이게 1차 안전장치죠.
그런데 만약 전기적 제어가 실패한다면?
그때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엘리베이터를 강제로 세우는 역할까지 합니다.
추락 방지 안전장치와의 연결
엘리베이터 하부에는
‘추락 방지 안전장치’, 또는 세이프티기어(safety gear) 라는 장치가 있어요.
(용어정리 시간을 통해서 이후에 또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지나치게 빨라졌을 때
주행레일을 꽉 잡아 엘리베이터를 물리적으로 멈추는 역할을 합니다.
과속조절기는 이 세이프티기어에 신호를 보내
“지금 진짜 위험해! 잡아야 해!” 라는 명령을 내리는 존재인 거죠.
즉,
- 먼저 감지하고
- 그다음 신호를 보내고
- 최종적으로 물리적 정지까지 연결시키는
- 엘리베이터 안전의 핵심 중 핵심입니다.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 과속조절기는 엘리베이터 속도가 너무 빨라졌을 때 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 감지된 정보는 제어반으로 보내져 전기적으로 정지를 유도한다
- 상황이 심각할 경우 기계적인 추락 방지 장치(safety gear) 작동까지 연결된다
- 과속조절기는 엘리베이터 추락을 방지하는 최후의 수비수다
오늘은 과속조절기의 개념과 역할을 중심으로 알아봤습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다음에는 실제 과속조절기가 설치되는 위치,
동작 원리, 그리고 주행레일과의 연관성까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과속조절기 #엘리베이터가바나 #엘리베이터초속기 #엘리베이터추락방지 #세이프티기어 #승강기안전장치 #엘리베이터정격속도 #속도감지장치 #엘리베이터기초 #기술자블로그 #엘리베이터구조이해 #승강기기술 #과속방지장치 #엘리베이터보호장치 #기계적정지 #전기적정지 #엘리베이터컨트롤 #엘리베이터설계 #기술자레벨업 #엘리베이터안전기준 #엘리베이터제어 #엘리베이터원리 #승강기운행안전 #엘리베이터속도제한 #기술글쓰기 #엘리베이터실무 #기초기술정리 #엘리베이터공부 #팽팽이스타일
'『승강기』 쉽게 읽는 승강기 안전기준(22.3.2이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안기-용어정리4]_구동기 (0) | 2025.06.25 |
---|---|
과속조절기 테스트 방법 (0) | 2025.06.25 |
[승안기-용어정리2]_개문출발(문열림출발) (0) | 2025.06.25 |
[승안기-용어정리1]_간접 유압식 엘리베이터 (0) | 2025.06.25 |
[승안기] 엘리베이터 적용범위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