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년 이전 안전기준)

(22년 이후 안전기준_용어수정)
안녕하세요. 육나레입니다.
오늘은 승강기 용어정리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함께 살펴볼 용어는 바로 ‘개문출발’입니다.
예전 세대, 그러니까 저와 같은 한문에 익숙한 사람들은
‘개문출발’이라는 말을 듣고 어느 정도 감이 오실 거예요.
‘문이 열린 채 출발하는 것’ 정도로요.
하지만 요즘처럼 한문을 따로 배우지 않는 세대에게는
이 단어 자체가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용어가 정확히 어떤 상황을 말하는지,
왜 중요한지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문출발의 정의
개문출발은 이렇게 정의됩니다.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카가 승강장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는 움직임
출처 입력
무슨 말일까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카가 위나 아래로 움직이는 것,
즉 승강장을 벗어나 버리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건 상상만 해도 무서운 장면이에요.
사람이 막 탑승하려던 순간, 또는 막 내리던 중에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움직여 버린다면…
정말 끔찍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겠죠.
그래서 이 개문출발이라는 현상은
승강기에서 절대로 발생해서는 안 되는 위험한 상태로 규정되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법적 기준이 철저하게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예외도 있습니다
정의에는 이런 문장이 뒤따릅니다.
제작상 보정장치에 의해 정해진 구간 내에서
물건을 싣거나 내리는 것에 따른 움직임은 제외한다
출처 입력
이건 무슨 뜻일까요?
엘리베이터에 매우 무거운 물건을 실거나,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탑승할 경우,
엘리베이터가 아주 약간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또는 반대로 매우 무거운 물건을 내릴때, 엘리베이터가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죠.
이건 고장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중력 변화에 대한 반응입니다.
이때 엘리베이터는 스스로 위치를 보정해주는 장치를 통해
다시 정확한 층 높이에 맞춰 올라오거나 내려갑니다.
이러한 천천히 움직이는 보정 과정은 개문출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왜냐면,
이건 ‘위험한 움직임’이 아니라
안전하게 제어되는 정상 작동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 개문출발은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 상태에서
- 엘리베이터가 위나 아래로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뜻합니다.
- 이 현상은 아주 위험하며,
- 승강기 사고를 막기 위해 반드시 방지되어야 하는 항목입니다.
- 다만, 무거운 물건 탑재 등으로 인한 위치 보정 움직임은
- 예외적으로 인정됩니다.
- 이는 정상 작동으로 간주되며 개문출발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개문출발’이라는 용어 하나를 중심으로
엘리베이터가 얼마나 세밀하게 관리되고 있는지를 살펴봤습니다.
단순한 단어 같지만, 그 안에는
사람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기술적 노력과 사고의 역사가 담겨 있다는 점,
기억해두시면 좋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중요한 용어로 찾아오겠습니다.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문출발 #엘리베이터위험 #출입문안전 #승강기안전기준 #엘리베이터사고예방 #엘리베이터용어정리 #승강기기초 #기술자블로그 #승강기기술 #엘리베이터보정장치 #출입문열림 #보정운전 #엘리베이터정지위치 #기술자레벨업 #엘리베이터안전장치 #엘리베이터설계기준 #엘리베이터운행원리 #기술글쓰기 #엘리베이터구조 #팽팽이스타일 #현장실무 #기술자교육 #승강기기초개념 #기술정리노트 #엘리베이터상식 #기술이해도높이기 #엘리베이터공부 #엘리베이터운행안전 #승강기엔지니어
'『승강기』 쉽게 읽는 승강기 안전기준(22.3.2이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속조절기 테스트 방법 (0) | 2025.06.25 |
---|---|
[승안기-용어정리3]_과속조절기 (0) | 2025.06.25 |
[승안기-용어정리1]_간접 유압식 엘리베이터 (0) | 2025.06.25 |
[승안기] 엘리베이터 적용범위 (0) | 2025.06.25 |
[승안기] 엘리베이터 코드 EN 81-20/50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