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육나레입니다.
오늘은 엘리베이터 설치의 기본 중 기본,
‘승강로(well)’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
- 승강로란?
카, 균형추 또는 병행추가 주행하는 공간
(일반적으로 승강로 벽, 바닥 및 천장으로 구획된다)
출처 입력
이걸 정말 쉽게 말하면,
엘리베이터가 위아래로 다니는 전용 통로 공간이에요.
건물 안에 세로로 길게 뚫린 ‘엘리베이터 전용 터널’이라고 보면 딱 맞습니다.
엘리베이터는 벽을 타고 다니지 않잖아요.
따라서 처음부터 ‘엘리베이터만 다니는 전용 공간’이 필요하고,
그게 바로 승강로입니다.
- 승강로는 어떤 구조일까?
일반적으로 승강로는 아래 세 가지로 구획됩니다.
- 벽(Wall): 콘크리트나 벽돌, 블록 등으로 구성된 수직면
- 바닥(Pit):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공간, 피트라고도 불림
- 천장(Roof): 최상층에 닿는 상부 마감 구조
이렇게 벽·바닥·천장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승강로이고,
그 안에서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거죠.
2.승강로의 역할
- 엘리베이터가 주행하는 통로를 제공
- 가이드레일, 슬링, 로프, 세이프티기어 등 주요 구조물이 설치되는 공간
- 외부 충격이나 침입으로부터 카를 보호
- 화재나 사고 발생 시 방화구역 역할도 겸함
- 정전이나 기계고장 시 작업자가 접근하는 공간이기도 함
승강로는 단순히 공간만 제공하는 게 아니라,
안전과 기능, 정비까지 아우르는 엘리베이터의 기반 구조예요.
3.실무에서 구분하는 승강로 형태
- 기계실형(MR): 승강로 위에 별도 기계실이 존재
- 무기계실형(MRL): 구동기와 제어반 일부가 승강로 상부나 측면에 직접 부착
- 노출형 승강로: 외관이 유리나 철제 구조로 된 쇼핑몰형 엘리베이터 등에 사용
- 좌우 분리형 균형추 등 구조에 따라 승강로 너비나 배치도 달라짐
승강로 설계는 단순히 공간 확보 문제가 아니라,
카의 무게, 균형추 위치, 구동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설계자와 구조기술자, 설치자 모두가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
4.정리하자면
- 승강로는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가 다니는 전용 수직 통로이다
- 구조는 벽, 바닥(피트), 천장으로 구성되며
- 엘리베이터 설치의 핵심 공간이다
- 주요 부품이 설치되고, 운행 안정성·안전 확보를 위한 기준 공간이다
- 엘리베이터 구조와 타입에 따라 승강로 설계도 달라진다
엘리베이터는 ‘카’만으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걸 움직이게 하는 트랙이자 공간이 바로 '승강로’입니다.
눈에 보이진 않지만, 가장 중요한 구조.
엘리베이터는 이 빈 공간 덕분에 세상을 위아래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승강로 #엘리베이터승강로 #엘리베이터기본구조 #엘리베이터공간 #승강기설비 #엘리베이터기술정리 #팽팽이스타일 #기초기술정리 #기계실형엘리베이터 #MRL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안전기준 #엘리베이터용어 #승강기현장용어 #엘리베이터공사 #엘리베이터설치공간 #엘리베이터설비구성 #엘리베이터기초 #건물승강로구조 #기술자블로그 #승강기이해 #육나레
'『승강기』 쉽게 읽는 승강기 안전기준(22.3.2이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안기-용어정리20]_승객(Passenger) (0) | 2025.06.28 |
---|---|
[승안기-용어정리19]_승강로 상부공간(headroom) (0) | 2025.06.27 |
[승안기-용어정리17]_슬링 (0) | 2025.06.26 |
[승안기-용어정리16]_바닥 맞춤 정확도 (0) | 2025.06.26 |
[승안기-용어정리15]_미리 지정된 다른 층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