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육나레입니다.
오늘은 ‘바닥 맞춤 정확도(Levelling Accuracy)’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출입할 땐 바닥이 같아야 한다 – 바닥 맞춤 정확도란?”
1. 정의부터 보겠습니다
카에 이용자의 출입 또는 화물의 하역 시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수직거리
출처 입력
즉,
엘리베이터가 층에 멈췄을 때,
엘리베이터 내부 바닥과 승강장 바닥의 높이가 얼마나 정확히 일치하느냐
그 차이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 바로 ‘바닥 맞춤 정확도’입니다.
2. 왜 중요할까?
엘리베이터 바닥이 층 바닥보다 살짝 높거나 낮으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 이용자가 걸려 넘어질 수 있고
- 휠체어, 유모차, 수레 등은 이동에 불편하며
- 특히 고령자, 장애인 등 보행약자에겐 매우 위험합니다
그래서 이 바닥 맞춤 정확도는
안전성과 승차감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간주됩니다.
3. 어느 정도 정확해야 하나?
국내 기준에서는 보통 다음과 같이 정합니다:
- 정지 시 수직 오차 ±10mm 이내
- 일부 화물용이나 특수 용도는 ±15mm까지 허용되기도 함
- 피난용 승강기는 더욱 정밀하게 요구되기도 합니다
※ 검사기관에서 ‘정지 오차’로 측정하는 핵심 항목이며,
반복 정차 시 레벨링 센서와 제어반의 정밀도까지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4. 바닥 맞춤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브레이크 동작 위치
- 로프 장력의 불균형
- 무게 중심의 이동
- 제어반의 설정값
- 기계적 마모 또는 센서 오차
이 때문에 정확도 유지가 안 될 경우,
레벨링 보정 기능(재레벨링)이 작동되도록 설계되기도 합니다.
5. 실무에서의 포인트
- 검사 항목으로 반드시 측정되고 기록되어야 함
- 리모델링 또는 개보수 시 보정이 필요한 항목 중 하나
- 무인 운전 시대(로봇 이송 등)에는 더 정밀한 레벨링이 요구됨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 바닥 맞춤 정확도는 엘리베이터 바닥과 층 바닥 간 높이 차이를 의미한다
- 이 수직 거리가 작을수록 승차감이 좋고, 안전사고 위험이 줄어든다
- 국내 기준은 보통 ±10mm 이내를 목표로 한다
- 검사·설계·보수 전 단계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안전 기준 항목이다
한 끗 차이지만, 그 한 끗이 사고를 막는 결정적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중요한 요소,
바닥 맞춤 정확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승강기레벨링 #엘리베이터바닥차이 #승강기정지정확도 #바닥맞춤정확도 #엘리베이터검사기준 #팽팽이스타일 #엘리베이터설계기초 #승강기정밀제어 #기술자블로그 #기초기술정리 #엘리베이터운행정확도 #레벨링센서 #레벨링오차 #승강기안전기준 #승강기운행정보 #엘리베이터출입안전 #엘리베이터보수항목 #승강기유지관리 #엘리베이터레벨링조건
'『승강기』 쉽게 읽는 승강기 안전기준(22.3.2이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안기-용어정리18]_승강로 (0) | 2025.06.26 |
---|---|
[승안기-용어정리17]_슬링 (0) | 2025.06.26 |
[승안기-용어정리15]_미리 지정된 다른 층 (0) | 2025.06.26 |
[승안기-용어정리14]_멈춤쇠 장치 (0) | 2025.06.26 |
[승안기-용어정리13]_릴리프 밸브 (0) | 2025.06.26 |